안녕하세요. 이번에 백산이라는 회사의 임원진 장내매수 공시가 있었습니다. 백산은 합성피혁을 제조해 나이키, 아디다스 등 의류제조업체에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과연 임원진이 무슨 이유로 지금 시점에 장내매수하여 지분을 늘린 것인지, 우리 투자에 참고할 만한 것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백산은 어떤 회사?
폴리우레탄 합성수지와 부직포 등의 기포제를 사용하여 합성피혁을 제조해 판매하는 것이 주요 사업입니다. 인도네시아,, 중국, 베트남에 현지 법인과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포츠 신발, 전자제품 내장재 등이 주요 사업이고, 아니키, 아디다스, 리복 등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회사에 대한 공급이 매출액의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나이키, 아디다스 리복의 합성피혁 사용량 25%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공시내용은?
2024. 1. 2. 백산의 임원인 조윤영 전무님이 135,000주를 매수하였다고 공시하였습니다. 현 주가로 계산하면 약 14억 원가량이 됩니다. 꽤 많은 금액으로 보이는데요. 어떤 이유로 이런 큰 금액을 투입하여 지분을 늘렸을까요.
최근 이슈는?
백산은 스포츠 신발 관련 사업 확대를 위해 2022년 7월 인도네시아 공장의 설비증설을 공시하여 123억원의 토지를 취득하였고, 2024년 상반기 완공 예정으로 외연 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한국 IR협회 리포트 참조)
백산은 차량용 내장재 사업도 영위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매출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품목은 핸들커버, 의자, 콘솔, 도어트림 등이며 적용 차종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연간 매출액이 1,000억 원을 상회할 전망이라고 합니다.(DS투자증권 리포트 참조)
2023년 매출액 하락?
백산은 2021년 3,711억원, 2022년 4,759억 원으로 매출액이 지속 성장하였으나 2023년은 4,151억 원(컨센서스)으로 다시 감소할 예정입니다. 2022년 말부터 지속된 소비 침체 영향으로 나이키, 아디다스 등 전방기업들의 축적된 재고가 백산 수주액의 감소로 이어진 것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2022년 503억원에서 2023년 531억 원(컨센서스)으로 늘어날 예정인데요. 원부자재 가격이 안정되고, 공급 가격이 상승하였으며, 내부적인 원가절감 노력 등의 영향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꽤 놀라운 높은 수익성
저는 백산이라는 회사를 이번에 알게 되었는데 최근 3년 간 ROE 20% 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리고 증권사 컨센서스를 보면 내년에도 ROE 20.90%를 예상하고 있네요. 과연 이런 수익성은 어떻게 나오는지 나중에 한번 제대로 알아봐야겠습니다.
결론은,
합성피혁 전문회사인 백산은 높은 수익성을 가진 회사이고, 차량 내장재 사업에 진출하여 매출이 성장하고 있고, 인도네시아 공장 등 외연이 확장될 예정으로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회사로 보입니다.
그러나 나이키 등 전방회사들이 재고가 많이 쌓여 있어 신규주문이 줄어 최근 매출은 줄어들어 있는 상태이고 현재 주가도 그걸 반영하여 조정을 받은 상태로 보입니다.
이번 임원의 지분매입 공시는 이러한 주가 조정 상황에서 진행된 것으로, 향후 백산 회사의 성장성을 보고 지분을 매입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앞으로 좀 더 알아보고 싶은 기업이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투자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G] 저평가 요인 해소 트리거는 (0) | 2024.01.29 |
---|---|
[참좋은여행] 여행수요 증가, 주가도 따라갈까? (0) | 2024.01.15 |
[환인제약] 대표이사 지분매입 이유, 이제부터 실적 좋아지나 (0) | 2023.12.17 |
[효성화학] NF3 특수가스 사업부 분사, 재무부담 줄어드나 (2) | 2023.12.14 |
[산업분석] 펄프, 폐지, 골판지 등 '제지산업' 둘러보기 (1) |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