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종이값이 인상되어 제지업체들의 수익성이 좋아질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종이의 원료가 되는 펄프, 폐지 및 골판지 등의 특성과 가격변동 요인을 알아보고, 또 제지는 어떤 산업이고 상장된 기업들 각각의 수익구조 차이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12.04 - [- 금융정보] - 종이값 인상, 제지업체 수익성 좋아지나?
종이값 인상, 제지업체 수익성 좋아지나?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지업체가 종이값을 인상한다는 소식에 대하여 이야기해 볼 건데요. 한국경제 뉴스 기사에 따르면 이달부터 국내 주요 제지업체가 종이값을 7~8% 인상한다고 합니다. 이번
snowballkorea.tistory.com
종이의 원료 '펄프', '폐지'
종이는 목재, 짚, 대나무 등 식물섬유나 기타 섬유를 고착해 만든 것으로, 펄프나 폐지를 원료로 제조합니다. 목재는 대부분 열대우림 국가들로부터 수입하고 있습니다. 폐지는 폐상자, 폐신문지를 재활용한 것입니다.
아래는 국제 나무가격의 변동요인입니다. 만약 이러한 요인과 관련한 뉴스기사를 접하셨다면 앞으로 제지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국제 나무 가격의 변동요인] 1. 공급 및 수요 : 건설산업의 활성화나 가구 산업 등의 성장으로 인해 나무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합니다. 2. 환경 규제와 정책 : 삼림보호 정책이 강화되면 나무의 공급이 줄어들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3. 환율변동 : 나무는 국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므로, 환율가격이 나무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나무 수출 국가의 화폐가 약세를 보일 경우 나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4. 자연재해 : 산불, 벌레 피해, 홍수 등의 자연재해는 나무의 공급을 감소시켜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5. 에너지비용 : 나무의 채취 및 가공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합니다. 따라서 에너지 비용의 상승은 나무 가격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종이의 종류, '종이' 와 '판지'
종이는 '종이'와 '판지'로 나뉘는데 종이·판지를 통칭하여 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종이는 단층이며, 판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습니다.
판지는 종이에 대응하는 용어로 펄프 또는 폐지 등을 배합하여 여러 층으로 겹뜨기 한 두꺼운 종이입니다.
한국제지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1) 종이
- 신문용지 : 신문 인쇄에 사용되는 종이로, 주요 원료는 폐지이며 기계펄프가 포함되기도 함
- 인쇄용지 : 인쇄, 필기의 목적 또는 다른 정보교환 형태로 사용되는 종이
- 특수지 : 벽지, 팬시 용지 등 용도에 따라 각각 적합한 성질을 부여하여 특정용도에 사용하는 종이
- 위생용지 : 화장지, 티슈, 타월 등과 같이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위생용으로 사용되는 종이
- 포장용지 : 물품의 수송, 보관 등에 사용되는 종이. 판지는 제외함
2) 판지
- 백판지 : 여러 층으로 겹 뜨기 한 판지의 한 종류로 제약, 제과, 화장품 등의 낱개포장에 쓰임. 주로 내부포장용으로 사용
- 골판지 원지 : 주로 물품의 외부포장에 사용되는 골판지의 원지로, 표면과 이면에 쓰이는 라이너와 가운데 주름으로 쓰이는 골심지로 구분
- 기타 판지 : 백판지와 골판지원지에 포함되지 않는 판지(컵 원지, 황판지, 지관 원지)
기업별 제조품목 및 수익구조 차이점
무림P&P
국내 유일의 펄프 제조사입니다. 목재를 원재료로 하여 펄프를 생산합니다.
펄프를 제조하여 판매하므로, 제품인 펄프 값이 상승하면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반면, 펄프를 원료로 사용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다른 제지회사들은 펄프 값이 오르면 원가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됩니다.
[국제 펄프가격 변동 요인] 1. 나무 가격 : 펄프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인 나무의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이에 따라 펄프의 가격도 변동할 수 있습니다. 2. 생산량 및 수요 : 펄프 공급량이 수요를 초과하면 가격이 하락하고, 반대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3. 에너지 비용 : 펄프 제조는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이므로, 에너지 비용의 변동은 펄프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4. 환율변동 : 펄프는 국제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므로, 환율가격이 펄프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펄프 생산국의 화폐가 강세를 보일 경우 펄프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정책 및 규제 : 정부의 환경정책, 무역 정책 등이 변하면 이에 따라 펄프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한솔제지
펄프를 원료로 산업용지(백판지), 특수지(감열지 등), 인쇄용지 등을 제조합니다. 원료인 펄프의 가격이 낮아질수록, 제품인 산업용지 등의 가격이 오를수록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1. 산업용지(백판지) : 화장품, 식품류, 라면용기 등 제품포장에 사용되며 국내 경쟁사는 깨끗한나라, 세하, 한창 등이 있습니다. 2. 특수지(감열지) : 신용카드 영수증 및 택배라벨에 사용되며 국내 경쟁사는 없습니다. 3. 인쇄용지 : 교과서, 잡지류, 복사지 등에 사용되며 국내 경쟁사로는 무림페이퍼, 무림P&P, 한국제지 등이 있습니다. |
신대양제지, 아세아제지
이들 기업은 폐지(국내 고지)를 원료로 하여 골판지 원지를 생산합니다. 폐상자, 폐신문지 등을 전국 300여 개 압축장이 수거하여 이들 기업에 전달되면 폐지를 가공하여 원지로 제조합니다.
폐지가 원료이므로 폐지 가격이 낮아지면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반대로 폐지 가격이 오르면 수익성에 타격을 받습니다. 제품인 골판지 가격이 오르면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폐지 가격의 변동요인] 1. 수요와 공급 :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폐지의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폐지를 재룔로 사용하는 산업의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2. 국제시장 : 폐지는 국제시장에서 거래되므로, 대중국의 수입 정책이나 세계경제 상황 등 국제적인 요인도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2016년 하반기부터 2017년 상반기까지 중국은 폐지와 고철 수입을 늘렸고, 이 때 폐지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3. 정책 및 규제 : 정부의 환경정책이나 재활용에 관한 규제는 폐지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다시 위 중국의 폐지수입정책과 관련하여, 중국은 2017년 하반기에 환경오염을 이유로 폐플라스틱, 폐지, 고철 등의 수입을 규제하였고, 이로 인해 폐지 가격은 다시 급락하게 됩니다. |
태림포장, 삼보판지
이들 기업은 골판지 원지를 원료로 택배상자 등 골판지상자를 제조합니다. 원료인 골판지 원지 가격이 낮아지면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또한 제품인 골판지 상자 가격이 높아지면 수익성이 좋아집니다. 골판지상자는 택배에 많이 사용되고 또 택배는 온라인쇼핑 시장과 동행합니다. 따라서 온라인쇼핑 등이 활성화되어 택배물량이 많아지면 골판지 제조하는 회사의 수익성에는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지산업에 대하여 종이의 원료, 종류, 펄프 등 각 원재료 가격의 변동요인, 각 기업 별 수익구조 차이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가격의 변동 추이만으로 투자할 기업을 결정할 수는 없겠지만, 투자할 기업이 제지 산업 내에 있다면 이런 특성을 잘 활용하여 투자여부를 결정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산업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투자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G] 저평가 요인 해소 트리거는 (0) | 2024.01.29 |
---|---|
[참좋은여행] 여행수요 증가, 주가도 따라갈까? (0) | 2024.01.15 |
합성피혁 전문 회사 백산, 임원진 장내매수 (1) | 2024.01.03 |
[환인제약] 대표이사 지분매입 이유, 이제부터 실적 좋아지나 (0) | 2023.12.17 |
[효성화학] NF3 특수가스 사업부 분사, 재무부담 줄어드나 (2) | 2023.12.14 |